2013년 수능 외국어 영역 30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maintaining good social relations depends on two ① complementary processes: being sensitive to the needs of others and being motivated to make amends or pay compensation when a violation does occur. In short, maintaining good social relations depends on the ② capacity for guilt. Martin L. Hoffman, who has focused on the guilt that comes from harming others, suggests that the motivational basis for this guilt is empathetic distress. Empathetic distress occurs when people ③ deny that their actions have caused harm or pain to another person. Motivated by feelings of guilt, they are ④ inclined to make amends for their actions. Making amends serves to repair damaged social relations and ⑤ restore group harmony.
1. 내용풀이
죄책감으로 인해 자극을 받는다고 했으므로, 자신들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손해나 고통을 일으켰음을 깨달을 때 고통의 공감이 생긴다고 하는 것이 옳다. 따라서 ③ ‘deny’는 문맥상 적절하지 않으며, realize로 바꾸는 것이 옳다.
2. 구문해설
①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maintaining good social relations depends on two ① complementary processes: being sensitive to the needs of others and being motivated to make amends or pay compensation when a violation does occur.]
※maintaining good social relations:좋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 ※being sensitive to the needs of others: 타인의 요구에 민감해 지는 것 ※being motivated: 자극을 받는 것 ※ make amends 와 pay compensation은 motivated to로 연결되는 병렬관계 ※a violation does occur: does는 강조 → 연구자들은 사회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두 가지 상호보완적인 과정, 즉 타인의 요구에 민감한 것과 위반 행위가 정말로 생기면 보상이나 배상이 가능하도록 자극을 받는 것에 달려있다는 점을 언급해왔다.
② [In short, maintaining good social relations depends on the capacity for guilt. Martin L. Hoffman, (who has focused on the guilt that comes from harming others,) suggests that the motivational basis for this guilt is empathetic distress.]
※In short: 간단히 말하면 ※the motivational basis for this guilt: 죄책감에 대해 동기가 유발되는 기반 ※empathetic distress: 고통을 공감하는 것 →요약하면, 좋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죄책감에 대한 수용 능력에 달려 있다. Martin L. Hoffman은, 타인에게 해를 입히면 생기는 죄책감에 초점을 맞춰왔는데, 그는 이러한 죄책감에 대해 동기가 유발되는 기반은 고통의 공감이라고 시사한다.
③ [Empathetic distress occurs when people realize that their actions have caused harm or pain to another person.] ※harm or pain:손해나 고통 → 고통의 공감은 자신들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손해나 고통을 일으켰음을 부인할(→ 깨달을) 때 생긴다.
④ [Motivated by feelings of guilt, they are inclined to make amends for their actions. Making amends serves to repair damaged social relations and restore group harmony.] ※ (Being) motivated by feelings of guilt = When they are motivated by feeling of guilt ←분사 구문 ※feelings of guilt: 죄책감 ※be inclined to ~하기 쉽다, ~하는 경향이 있다 ※damaged social relations 손상된 사회적 관계 ※repair와 restore도 병렬관계 → 죄책감으로 인해 자극을 받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보상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보상하는 것은 손상된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고 집단의 화합을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3. 단어정리
*maintain 유지하다, 주장하다 *complementary 상호보완적인, 보충하는 *sensitive 민감한, 예민한 *need 요구, 필요 *motivate 자극하다, 동기를 주다→be motivated 자극받다 *make amends 보상하다 *compensation 배상, 변상 *capacity 수용 능력 *guilt 죄책감, 죄의식 *empathetic 공감할 수 있는, 감정 이입의→ⓥ empathize 감정이입을 하다, 공감하다(with)→cf) emphasize 강조하다 *be inclined to ~하기 쉽다, ~하는 경향이 있다 *distress 고통, 비탄, 고민, 괴롭히다, 슬프게 하다 *restore 회복하다
4. 전문해석
연구자들은 사회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두 가지 상호보완적인 과정, 즉 타인의 요구에 민감한 것과 위반 행위가 정말로 생기면 보상이나 배상이 가능하도록 자극을 받는 것에 달려있다는 점을 언급해왔다. 요약하면, 좋은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죄책감에 대한 수용 능력에 달려 있다. Martin L. Hoffman은, 타인에게 해를 입히면 생기는 죄책감에 초점을 맞춰왔는데, 그는 이러한 죄책감에 대해동기가 유발되는 기반은 고통의 공감이라고 시사한다. 고통의 공감은 자신들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손해나 고통을 일으켰음을 부인할(→ 깨달을) 때 생긴다. 죄책감으로 인해 자극을 받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보상을 하려는 경향이 있다. 보상하는 것은 손상된 사회적 관계를 회복하고 집단의 화합을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