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수능 외국어 영역 37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37.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y is it difficult to find a runner who competes equally well in both 100-m and 10,000-m races? The primary reason is that our muscles contain two main types of muscle fibers, called slow and fast muscle fibers. Slow muscle fibers are muscle cells that can sustain repeated contractions but don’t generate a lot of quick power for the body. They perform better in endurance exercises, like long-distance running, which require slow, steady muscle activity. Fast muscle fibers are cells that can contract more quickly and powerfully than slow muscle fibers but fatigue much more easily; they function best for short bursts of intense activity, like weight lifting or sprinting.
① reasons for runners to develop strong muscles
② differences between slow and fast muscle fibers
③ comparison of sprinting with long-distance running
④ necessity of building muscles for long-distance runners
⑤ relationship between muscle fibers and physical fatigue
1. 내용풀이
느린 근섬유와 빠른 근섬유를 비교하면서 둘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는 글이다. 이러한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 ‘느린 근섬유와 빠른 근섬유의 차이점’이다. → ① 달리기 선수가 강한 근육을 발달시키게 되는 원인 ③ 단거리 달리기와 장거리 달리기의 비교 ④ 장거리 달리기 선수에게 있어서 근육을 발달시키는 것의 필요성 ⑤ 근섬유와 신체 피로의 관계
2. 구문해설
① [Why is it difficult to find a runner / who competes equally well / in both 100-m and 10,000-m races?] ※it:가주어/to~:진주어 → 100미터 경주와 10,000미터 경주 모두에서 똑같이 경기를 잘하는 주자를 찾는 것이 왜 어려울까?
② [The primary reason is that our muscles contain two main types of muscle fibers, (which are) called slow and fast muscle fibers.] → 주된 이유는 우리의 근육이 느린 근섬유와 빠른 근섬유로 불리는 주요한 두 형태의 근섬유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③ [Slow muscle fibers are muscle cells / that can sustain repeated contractions / but don’t generate a lot of quick power for the body.] ※muscle cells:근섬유 ※repeated contractions:반복적인 수축 → 느린 근섬유는 반복적인 수축을 견딜 수는 있지만, 신체를 위한 신속한 힘을 많이 만들지는 않는 근육 세포이다.
④ [They perform better in endurance exercises, (like long-distance running,) which require slow, steady muscle activity.] ※endurance exercises:지구력 운동 → 그것은 (장거리 경주와 같이) 느리고 꾸준한 근육 활동이 필요한 지구력 운동에서 더 잘 작동한다.
⑤ [Fast muscle fibers are cells / that can contract more quickly and powerfully / than slow muscle fibers / but fatigue much more easily;] ※much more easily:훨씬 더 쉽게 → 빠른 근섬유는 느린 근섬유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게 수축할 수 있지만, 훨씬 더 쉽게 피로해지는 세포이다.
⑥ [they function best for short bursts of intense activity, like weight lifting or sprinting.] ※burst:폭발, 파열, 폭발하다 ※ a burst of: 폭발적인 ※short bursts of intense activity: 짧고 폭발적인 격련한 활동 → 그것은 역도나 단거리 경주와 같은 짧고 폭발적인 격렬한 활동에서 가장 잘 작용한다.
3. 단어정리
*muscle fiber 근섬유 *contraction 수축 *endurance 지구력 *sprinting 단거리 경주 *comparison 비교, 대조
4. 전문해석
100미터 경주와 10,000미터 경주 모두에서 똑같이 경기를 잘하는 주자를 찾는 것이 왜 어려울까? 주된 이유는 우리의 근육이 느린 근섬유와 빠른 근섬유로 불리는 주요한 두 형태의 근섬유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느린 근섬유는 반복적인 수축을 견딜 수는 있지만, 신체를 위한 신속한 힘을 많이 만들지는 않는 근육 세포이다. 그것은 장거리 경주와 같이 느리고 꾸준한 근육 활동이 필요한 지구력 운동에서 더 잘 작동한다. 빠른 근섬유는 느린 근섬유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게 수축할 수 있지만, 훨씬 더 쉽게 피로해지는 세포이다. 그것은 역도나 단거리 경주와 같은 짧고 폭발적인 격렬한 활동에서 가장 잘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