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시접속자: 016 |
|
|
작성일 : 13/06/01
2010학년도 수능 외국어 영역 38번 해설
|
|
 조회 : 4,349
|
2010-38.hwp (61.5K) |
2010년 수능 외국어 영역 38번 정답 및 해설 - 손범식
38.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 practical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room for error, we have learned to avoid vagueness in communication. A fire chief, for example, needs to issue his orders with absolute clarity. In imaginative situations, however, there is the danger that too much specificity can limit your imagination. Let’s suppose that the same fire chief has asked you to paint a picture on the side of his firehouse. If he tells you what he wants it to look like right down to the last detail, he has not given you any room for your imagination. However, if the assignment were stated somewhat vaguely, then you would have more room to think and be more creative.
① 소방관들은 업무 수행 시 정확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② 상사는 부하의 업무에 지나치게 간섭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③ 정확한 정보 해석을 위해서 여러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④ 대화에서는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상상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다소 모호한 말이 도움이 될 수 있다.
1. 내용풀이
소방서장이 소방서의 벽에 그림을 그리라고 할 때는 구체적인 지시보다는 막연하고 애매한 진술이 상상력을 발휘할 여지를 더 많이 부여한다는 내용에서 ‘상상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다소 모호한 말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요지를 추론할 수 있음.
2. 구문해설
① [In practical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room for error, we have learned to avoid vagueness in communication.] ※room:여유, 여지 ※where:관계부사 ☞실수에 대한 여유가 전혀 없는 실제적인 상황에서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애매함을 피하라고 우리는 배웠다.
② [A fire chief, for example, needs to issue his orders with absolute clarity.] ※issue: ⓝ문제, 쟁점, 사안 ⓥ발표하다, 공표하다, 발행하다 ※issue one's order:명령을 하달하다. ※with absolute clarity:절대적으로 명료하게(with + 추상명사 = 부사) ☞예를 들어, 소방서장은 절대적으로 명료하게 그의 명령을 내릴 필요가 있다.
③ [In imaginative situations, however, there is the danger (=) that too much specificity can limit your imagination.] ※ the danger that~:여기서 that은 동격. ☞하지만, 상상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너무 지나친 구체성이 당신의 상상력을 제한할 수 있다.
④ [Let’s suppose that the same fire chief has asked you to paint a picture on the side of his firehouse.] ※on the side of his firehouse:그의 소방서 한쪽에 ☞동일한 소방서장이 당신에게 그의 소방서의 한 쪽에 그림을 그리도록 요청했다고 가정해보자.
⑤ [If he tells you what he wants it to look like right down to the last detail, he has not given you any room for your imagination.] ※what he wants it to look like:(주의) 여기서 what은 관계대명사가 아니라 의문사입니다.(what ~like = how)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 순이라는 거기억하시고. 따라서 위 문장을 [If he tells you what does he want it to look like~]라고 변형시켜놓고 어법상 틀린 부분을 찾으라 한다면, 수험생들!!! 쉽게 찾을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봅니다.^^(he = fire chief, it = picture) ※right down to the last detail: 마지막 세부사항까지 완전히(right down:완전히, 줄곧, 솔직하게)
☞만약 그가 당신에게 그것이 어떻게 보이기를 원하는지 마지막 세부사항까지 말을 한다면, 그는 당신에게 당신의 상상력을 위한 어떤 여지도 부여하지 않은 것이다.
⑥ [However, if the assignment were stated somewhat vaguely, then you would have more room to think and be more creative.] ※somewhat: 다소, 어느 정도, 약간 ※be stated:진술되다 ※ think와 be more creative는 동격관계로 모두 more room을 수식하는 형용사적용법 ☞하지만, 만약 그 임무가 다소 막연하게 진술된다면, 당신은 생각하고 보다 더 창의적이 될 여지를 더 많이 가질 것이다.
3. 단어정리
*room 여지, 공간 *vagueness 애매함 *issue 발포하다, 내다 *clarity 명료함 *specificity 구체성, 한정성, 특이성 *detail 세부사항 *assignment 임무 *state 진술하다
4. 전문해석
실수에 대한 여유가 전혀 없는 실제적인 상황에서는 의사소통에 있어서 애매함을 피하라고 우리는 배웠다. 예를 들어, 소방서장은 절대적으로 명료하게 그의 명령을 내릴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상상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너무 지나친 구체성이 당신의 상상력을 제한할 수 있다. 동일한 소방서장이 당신에게 그의 소방서의 한 쪽에 그림을 그리도록 요청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그가 당신에게 그것이 어떻게 보이기를 원하는지 마지막 세부사항까지 말을 한다면, 그는 당신에게 당신의 상상력을 위한 어떤 여지도 부여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만약 그 임무가 다소 막연하게 진술된다면, 당신은 생각하고 보다 더 창의적이 될 여지를 더 많이 가질 것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