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수능 외국어 영역 44번 정답 및 해설 - 송곡닷컴(songgok.com)
44.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However, recent success in the packaged-cookie market suggests that these may not be the only, or perhaps even the most important, reasons.]
Why eat a cookie? Some reasons might be to satisfy your hunger, to increase your sugar level, or just to have something to chew on. ( ① ) It appears that cookie-producing companies are becoming aware of some other influences and, as a result, are delivering to the market products resulting from their awareness. ( ② ) These relatively new product offerings are usually referred to as ‘soft’ or ‘chewy’ cookies,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more typical crunchy varieties. ( ③ ) Why all the fuss over their introduction? ( ④ ) Apparently much of their appeal has to do with childhood memories of sitting on the back steps devouring those melt-in-your-mouth cookies that were delivered by Mom straight from the oven, while they were still soft. ( ⑤ ) This emotional and sensory appeal of soft cookies is apparently at least as strong as are the physical cravings that the product satisfies.
1. 내용풀이
주어진 문장의 these는 첫 문장에서 언급된 쿠키를 먹는 여러 가지 이유를 가리킨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은 ①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2. 구문해설
[Why eat a cookie? Some reasons might be to satisfy your hunger, to increase your sugar level, or just to have something to chew on] ※ to satisfy~, to increase~, to have something~ 은 모두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이며, to chew on은 something을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
→ 왜 쿠키를 먹을까? 몇 가지 이유로는 배고픔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혈당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혹은 단지 씨ㅂ어 먹을거리로서 일지 모른다.
[However, recent success in the packaged-cookie market suggests that these may not be the only, or perhaps even the most important, reasons.]
→하지만 포장쿠키 시장에서(in the packaged-cookie market)의 최근의 성공(recent success)은 이것들이 유일한(the only), 혹은 아마도 심지어 가장 중요한(perhaps even the most important) 이유는 아닐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It appears that cookie-producing companies are becoming aware of some other influences and, as a result, are delivering to the market products resulting from their awareness. ]
※ It appears that = It seems that ~인 것 같다, ~처럼 보이다. ※ be(become) aware of~:~을 깨닫다, 인식하다 ※ as a result 그 결과로서 ※ result from:~로부터 기인하다 ※ are becoming 과 are delivering은 서로 병렬관계를 이루고 있음.
※ It appears that cookie-producing companies are becoming aware of~ = Cookie-producing companies appear to be becoming aware of~
→쿠키 제조 회사들은 어떤 다른 영향들을 깨닫고 있으며, 그 결과, 그 깨달음에서 기인한 시장 상품을 내어놓는 것처럼 보인다.
[These relatively new product offerings are usually referred to as ‘soft’ or ‘chewy’ cookies, to distinguish them from the more typical crunchy varieties. Why (is) all the fuss over their introduction?]
※ refer to Ⓐ as Ⓑ : Ⓐ를 Ⓑ로 간주하다, 부르다, 여기다 → be referred to as 수동주의. ※ all the fuss: 모든 호들갑(소란) ※over their introduction: 그 제품에 대한
→이러한 상대적으로 새로운 상품 제공(offerings)은 대개 ‘부드러운’ 또는 ‘씨ㅂ는 맛이 있는’ 쿠키로 언급되는데, 이는 더욱 전형적인 바삭한 종류(the more typical crunchy varieties)와 그것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왜 그 상품의 도입에 떠들썩한 것일까?
[Apparently much of their appeal has to do with childhood memories / of sitting on the back steps / devouring those melt-in-your-mouth cookies / that were delivered by Mom / straight from the oven,/ while they were still soft.]
※ have to do with:~과 관련이 있다 → have something(nothing, much) to do with ※ Apparently = It is apparent that their appeal has much to do with childhood~.
→분명히(Apparently) 그 매력의 상당 부분(much of their appeal)은 뒤 계단(the back steps)에 않아서 오븐에서 엄마가 바로 가져다 준 아직 부드러운, 입에서 녹는 쿠키를 게걸스럽게 먹던 어린 시절의 기억과 관련이 있다.
[ This emotional and sensory appeal of soft cookies is apparently at least as strong as are the physical cravings that the product satisfies]
→언뜻 보기에(apparently), 부드러운 쿠키에 대한 이런 감정적(emotional)이고 감각적(sensory)인 매력(appeal)은 적어도(at least) 그 상품이 만족시키는 신체적인 갈망만큼이나 강하다.
3. 단어정리
*packaged-cookie 포장쿠키 *sugar level 혈당 *It appears that = It seems that ~인것같다. ~처럼 보이다 *be aware of ~알다, ~을 인식하다 →ⓝawareness 인식, 깨달음 *result from ~로부터 기인하다 (result in 결국~이 되다) *relatively 상대적으로 *offerings 제공, 공물, 헌금 *distinguish Ⓐ from Ⓑ = tell Ⓐ from = discriminate Ⓐ from Ⓑ = distinguish between Ⓐ and Ⓑ =discriminate between Ⓐ and Ⓑ : Ⓐ와 Ⓑ를 구별하다 *typical 전형적인, 대표적인 *crunchy 바삭한 *variety 종류, 변화, 변종, 변이, 다양성 *fuss 소란, 호들갑 떠는 행위, 안달, 안달하다 *devour 게걸스럽게 먹다 *apparently 명백히, 언뜻 보기에 *have (something, nothing, much) to do with ~과 관련이 (약간, 전혀, 많이)있다 *appeal 호소하다, 매력 *craving 갈망,
4. 전문해석
왜 쿠키를 먹을까? 몇 가지 이유로는 배고픔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혈당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혹은 단지 ㅆㅂ어 먹을거리로서 일지 모른다. 하지만 최근의 포장쿠키 시장에서의 성공은 이것들이 유일한, 혹은 아마도 심지어 가장 중요한 이유는 아닐지도 모른다는 것을 시사한다. 쿠키 제조 회사들은 어떤 다른 영향들을 깨닫고 있으며, 그 결과, 그 깨달음에서 기인한 시장 상품을 내어놓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새로운 상품 제공은 대개 ‘부드러운’ 또는 ‘ㅆㅂ는 맛이 있는’ 쿠키로 언급되는데, 이는 더욱 전형적인 바삭한 종류와 그것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왜 그 상품의 도입에 떠들썩한 것일까? 분명히 그 매력의 상당 부분은 뒤 계단에 않아서 오븐에서 엄마가 바로 가져다 준 아직 부드러운, 입에서 녹는 쿠키를 게걸스럽게 먹던 어린 시절의 기억과 관련이 있다. 언뜻 보기에, 부드러운 쿠키에 대한 이런 감정적이고 감각적인 매력은 적어도 그 상품이 만족시키는 신체적인 갈망만큼이나 강하다.